전체 글(78)
-
[JSP] Login Session
Session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고, 로그인 후 세션 만료기간을 적용해볼 것이다. session : 세션에 데이터를 저장 가능함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로그인 지속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. session vs cookie: 세션은 브라우저를 종료할때까지 데이터가 유지된다.쿠키는 세션과 다르게, 브라우저 정리와는 별개로 생존기간동안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는다. GET: 주소창을 통해서 전달하기 때문에 인코딩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아도 글자깨짐 현상이 없다 POST: 주소창을 통하지 않아서, 별도의 인코딩 형식을 지정해야 글자를 정상적으로 받을 수 있다 파라미터는 request객체에 담겨서 넘어오기 때문에, request의 인코딩규칙을 지정한 후 파라미터를 꺼내야 한다. form.jsp - 1form에서 문..
2024.10.05 -
[HTML] 농협 사이트 만들어 보기
html 다루는 것에 익숙해지려면 당연히 반복해서 따라하는 것 만큼 좋을게 없지 않을까 싶다.그래서 오늘은 농협 사이트를 한 번 따라 만들어 보자. code Language Banking 은행안내 윤리경영 금융소비자보호 기업지배구조 경영정보 ESG경영 채용정보 ..
2024.10.05 -
[Java] 상속 (extends)
오늘은 자바의 상속에 대해 알아보고, 상속은 어떠한 장점이 있는지 코드를 작성하며 배워볼거다. Java 상속 시 유의할 점1. 부모 클래스에서 private 필드나 메서드는 상속이 안된다.2. 다중 상속이 안된다. (인터페이스 에서는 가능) 슈퍼 클래스 & 서브 클래스슈퍼 클래스 = 부모 클래스 서브 클래스 = 자식 클래스부모의 속성과 기능을 그대로 물려받는다.이미 만들어진 클래스의 재상용을 하기 위함.즉, 서브클래스는 부모클래스의 내용을 상속받아서 추가적인 요소를 넣어 개념을 확장한다. 서브클래스 선언: extends (확장) 이라는 키워드를 이용함 -> class 자식클래스명 extends 부모클래스명 예시 코드class Parent1 { // 두 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메서드 == Su..
2024.10.05 -
[JSP] JSP 실전
이번엔 여러 페이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입력받고 데이터 삭제, 추가 등의 기능을 처리해 볼 거다.간단한 도서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보자. index.jspadd.jspadd-action.jspdelete.jsplist.jspview.jspview-show.jsp대문페이지도서추가(사용자에게 보여줄 입력 폼)도서 추가(데이터 처리)도서 삭제목록개별 보기(자바 코드 부분 : 사용자에게는 보여지지 않음)개별 보기(출력 부분 : 사용자가 보여질 부분) index.jsp- 대문 페이지index.jsp 에서는 a 태그를 이용하여 도서 목록이 있는 list.jsp로 이동시킨다.Book도서 관리 프로그램 list.jsp- 현재 있는 도서 목록들을 보여준다.사용자는 이 페이지를 보면서 도서 추가 및 삭제를 할..
2024.10.05 -
[JSP] request & response
서로 다른 페이지 간에 데이터의 이동을 시켜볼 것이다. JSP (JavaServer Pages)JSP란 Java코드를 기반으로 하여 HTML 과 함께 동적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웹프로그래밍 언어이다.JSP가 실행되면 자바 서블릿(servlet)으로 변환되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동작 되면서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그렇게 생성된 데이터를 웹페이지와 함께 클라이어트로 응답한다. JSP 내장객체 (request / response)request서버에서 어떤 정보를 요청하는 것. 요청 정보는 request 객체가 관리한다. response웹 브라우저의 요청에 응답하는 것. response객체는 응답(response)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객체이다.request 와 response 의 내장객체스트립틀릿 내부에서는..
2024.10.05 -
[HTML] display
display의 여러가지 속성을 사용하여 요소를 원하는 곳에 배치, 또는 나타나게 해보자. div 태그div 태그는 혼자서 한 줄을 차지하는 block 속성의 태그로 division, 즉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태그다.div태그만 단독으로 사용할시 p태그와 큰 차이가 없으며 주로 style과 여러 속성을 같이 사용하여 각 영역마다 다양한 스타일을 만들기 위해 사용한다.가장 많이 사용하게 될 것이고, 기본이 되는 태그이기 때문에 이 태그에 익숙해져야만 한다. display의 다양한 속성display : 영역을 설정하여 화면에 출력했을때 보여지는 형태.block / inline / inline-blockblock 속성혼자서 한 줄을 차지한다.연속적으로 배치하면 세로로 배치된다.style을 이용하여 너비(wi..
2024.10.05